연금 저축 증권사 관련하여 안녕하십니까 최근 연금저축에 관심이 생겨 질문드립니다연금저축 가입 관련하여 수많은 증권사들이

연금 저축 증권사 관련하여

cont
안녕하십니까 최근 연금저축에 관심이 생겨 질문드립니다연금저축 가입 관련하여 수많은 증권사들이 있는데 어느 증권사에 가입을 해야하는지 잘모르겠습니다.찾아보니 자기자본 큰 증권사가 안전하니 가입해라, 본인이 편한 증권사에 가입해라혹은 요즘은 대동소이하니 낮은 수수료를 가진 증권사에 가입해라 등등 어떤 기준으로 선택해야할지 망설여집니다.한번에 많은 목돈을 넣기보다는 달에 일정 금액을 입금할 계획이다보니 신규가입 이벤트에는 해당이 안됩니다.아울러 투자는 안정적인 ETF(S&P500, 나스닥100, 미국배당다우존스 등)를 장기로 가지고있을 계획입니다.그리고 연금저축 계좌에 입금후 ETF에 투자하여도 연말정산시 세엑공제를 받아볼수있을지요?마지막으로 자산운용사가 운용하는 ETF를 매매할때보다 타운용사가 운용하는 ETF를 매매할때 수수료가 높은가요?정리하자면1. 연금저축 계좌 가입관련 증권사 추천해주세요.2. 연금저축 계좌에 가진 금액으로 ETF투자시에 연말정산 세액공제를 받아볼수있을까요?3. 자사운용사가 운용하는 ETF보다 타 운용사가 운용하는 ETF 매매시에 수수료가 높은가요?광고글은 정중히 사절하겠습니다.

질문자님, 안녕하세요

연금저축에 관심을 가지셨다니 정말 좋은 선택을 하셨습니다. 은퇴 이후의 삶을 대비하기 위해 지금처럼 미리 준비하는 게 가장 현명한 재테크 중 하나예요. 차근차근 질문 주신 내용 하나씩 정리해서 답변드릴게요.

1. 연금저축 계좌 개설 시 증권사 선택 기준

말씀하신 것처럼 증권사 선택 기준은 크게 3가지예요.

  1. 수수료(운용 보수/거래 수수료)

  • 대부분의 대형 증권사는 연금저축 계좌 내 ETF 거래 수수료를 낮게 책정해 두었어요.

  • 키움, 미래에셋, 삼성, NH투자, 한국투자 등은 수수료 경쟁이 치열해서 큰 차이가 없습니다.

  1. HTS/MTS 사용 편의성

  • 매달 납입하시고 ETF를 장기로 보유하실 계획이니, 앱이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편한 곳이 좋습니다.

  • 예: 키움은 투자정보가 다양, 미래에셋은 안정감, 삼성·NH투자는 UI가 깔끔하다는 평이 많습니다.

  1. 사후관리 & 고객센터 서비스

  • 연금저축은 장기 상품이기 때문에 계좌 관리, 고객센터 응대도 중요한 요소예요.

  • 자기자본이 크다고 더 안전한 건 아니고, 어차피 계좌 자산은 예탁결제원에 별도 보관되니 “안전성”은 증권사 규모와 무관합니다.

결론적으로, 수수료 낮고 MTS가 편한 증권사를 고르시는 게 제일 좋아요.

(개인적으로 초보자라면 미래에셋·NH투자·삼성 같이 앱이 간단한 곳을 추천드려요.)

2. 연금저축 계좌 + ETF 투자 시 세액공제

  • 연금저축 계좌에 연간 최대 600만 원까지 납입액에 대해 세액공제가 가능해요.

  • 총급여 5,500만 원 이하(종합소득 4,000만 원 이하) → 16.5% 공제

  • 그 이상이면 → 13.2% 공제

즉,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연금저축 계좌에 매달 돈을 넣고 그 돈으로 S&P500, 나스닥100 ETF 등을 매수하셔도 세액공제는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ETF를 사든 현금으로 두든, “계좌에 납입한 금액”이 기준이니까 걱정 안 하셔도 돼요

3. ETF 매매 시 운용사에 따른 수수료 차이

  • ETF 거래할 때 붙는 증권사 거래 수수료는 운용사와 무관해요. (삼성 ETF를 사든, 미래에셋 ETF를 사든 똑같습니다.)

  • 차이가 나는 부분은 **ETF 자체의 보수(운용보수)**인데, 이건 ETF를 운용하는 자산운용사에서 떼가는 관리 비용이에요.

  • 예를 들어 같은 S&P500 ETF라도

  • 삼성자산운용: 연 0.09%

  • 미래에셋: 연 0.07%

  • 이런 식으로 보수가 조금씩 달라요.

  • 즉, 매매 수수료는 동일 / 운용보수는 ETF별로 다름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정리

  1. 증권사 선택: 규모는 중요하지 않고, 수수료 + MTS 편의성 위주로 고르세요. (미래에셋, NH, 삼성, 키움 등 무난)

  2. 세액공제: 연금저축 계좌에 납입한 금액 기준으로 공제 → ETF 투자해도 동일하게 혜택 가능.

  3. ETF 수수료: 매매 수수료는 동일, 다만 ETF 운용사마다 운용보수가 조금씩 다름.

질문자님처럼 장기적인 시각으로 연금저축을 ETF에 투자하시면, 세제 혜택 + 장기복리 효과를 함께 누릴 수 있어서 훨씬 유리합니다.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직접 공부해 가면서 주식과 ETF 투자 감각을 조금씩 익히는 게 꼭 필요해요. 지금처럼 차근차근 공부하시다 보면 훗날 더 큰 자산 운용에도 자신감이 생기실 거예요. 응원합니다





참아야지! 참아라!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 친구여, 정말 자네 말이 맞네.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